[성명]장애인사망, 개인과실이 아니라 안전시설 없는 구조적 문제다
또 한명의 장애인이 목숨을 잃었다, 서울시는 사과하고 당장 차단봉을 설치하라!
어제(4/7) 또 한명의 장애인이 지하철역에서 사망했다. 전동휠체어를 탄 A씨는 양천향교역에서 에스컬레이터에 오르려다 뒤로 넘어져 사망했다. 휠체어는 에스컬레이터를 탈 수 없음에도 이를 막을 수 있는 차단봉이 세워지지 않아 사고가 난 것이다. 엄연한 안전시설 부재에 의한 사망이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는 ‘메트로 구간의 차단봉 설치는 권고 사항’이라며 책임을 개인에게 떠넘기고 있다. 의무사항이 아니라 권고사항이라고 사망의 책임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법제도의 공백을 내세워 공공기관과 지방정부의 책임을 회피하지 말라. 이제라도 사과하고 모든 지하철구간의 에스켈레이터 입구에 차단봉을 설치하라. 개인과실로 모는 것은 구조적 문제를 은폐하는 일일 뿐 아니라 고인에 대한 모독이다.
오늘 우리는 장애인이동권은 단지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권리임을 다시 확인한다. 2001년 오이도역에서 리프트에서 추락사한 지 21년이 지났지만 장애인이동권은 여전히 보장되지 않는 비참한 현실을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A씨의 명복을 빈다.
2022년 4월 8일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성명]장애인사망, 개인과실이 아니라 안전시설 없는 구조적 문제다
또 한명의 장애인이 목숨을 잃었다, 서울시는 사과하고 당장 차단봉을 설치하라!
어제(4/7) 또 한명의 장애인이 지하철역에서 사망했다. 전동휠체어를 탄 A씨는 양천향교역에서 에스컬레이터에 오르려다 뒤로 넘어져 사망했다. 휠체어는 에스컬레이터를 탈 수 없음에도 이를 막을 수 있는 차단봉이 세워지지 않아 사고가 난 것이다. 엄연한 안전시설 부재에 의한 사망이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는 ‘메트로 구간의 차단봉 설치는 권고 사항’이라며 책임을 개인에게 떠넘기고 있다. 의무사항이 아니라 권고사항이라고 사망의 책임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법제도의 공백을 내세워 공공기관과 지방정부의 책임을 회피하지 말라. 이제라도 사과하고 모든 지하철구간의 에스켈레이터 입구에 차단봉을 설치하라. 개인과실로 모는 것은 구조적 문제를 은폐하는 일일 뿐 아니라 고인에 대한 모독이다.
오늘 우리는 장애인이동권은 단지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을 지키는 권리임을 다시 확인한다. 2001년 오이도역에서 리프트에서 추락사한 지 21년이 지났지만 장애인이동권은 여전히 보장되지 않는 비참한 현실을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A씨의 명복을 빈다.
2022년 4월 8일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