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이스라엘과 공모하는 MIT 규탄 긴급 기자회견 MIT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학살 공모를 끝내라

이스라엘과 공모하는 MIT 규탄 긴급 기자회견

MIT는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학살 공모를 끝내라

 2025.1.20.

 

1. 오늘 1월 20일 월요일 오후 1시, 서울 강서구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산학협력 프로그램(Industrial Liaison Program, 줄여서 ILP)이 ‘2025 MIT 서울 심포지엄’을 열었습니다. 국제적 팔레스타인연대활동 조직 BDS*의 미국 내 지부인 비디에스 보스턴(BDS Boston)이 밝힌 사실에 의하면, MIT의 산학협력프로그램 ILP는 이스라엘의 최대 무기 제조업체이자 이스라엘 방위군에 무기를 공급하는 군수기업 엘빗 시스템즈(Elbit Systems)와 연구 및 사업 협력을 해왔습니다. BDS Boston은 지난해부터 MIT와 엘빗시스템즈의 협력 관계를 차단하기 위한 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BDS 운동은 이스라엘의 군사점령·아파르트헤이트·정착민 식민주의를 종식하기 위해 여기에 공모하는 기관, 기업 등을 보이콧boycott·투자철회divestment·제재sanction하는 사회운동으로, 팔레스타인 시민사회가 2005년부터 국제사회에 동참해달라고 호소해 온 비폭력 사회운동입니다.

 

2. 이는 산학협력 프로그램 차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교내단체 연합 MIT Coalition for Palestine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83페이지 보고서 <MIT Science for Genocide>에 따르면, MIT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집단학살과 정착민 식민주의에 가담하고 있습니다. 첫째, 캠퍼스의 MIT 연구실은 최소 2015년부터 이스라엘 국방부의 직접 후원을 받아 무기 및 감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이스라엘의 무기 개발에 기여했고, 특히 집단학살의 시발점인 2023년 10월 7일 이후와 최근인 2024년 12월에 갱신되었습니다. 둘째, MIT는 산학협력 프로그램(ILP)뿐만 아니라 글로벌 운영을 위한 리더(LGO), 컴퓨터 과학 및 인공지능 연구실(CSAIL), 에너지 이니셔티브(Energy Initiative) 프로그램을 통해 이스라엘에 방대한 양의 무기를 수출하는 회사들(엘빗 시스템즈, 록히드 마틴 등)과 기관 간 협력을 유지합니다. 이런 협력을 맺은 기업과 조직, 기관은 MIT의 인재와 전문 지식에 대한 특별한 접근 권한을 얻습니다.

 

3. 오늘 LG사이언스파크 마곡에서 열리는 MIT의 산학협력 프로그램(ILP) 심포지엄에 참가하는 교수들 중 일부는 이스라엘 국가기관 혹은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에 공모하는 기업 및 조직의 후원을 받아 연구나 강의를 하는 방식으로 협력해 왔습니다. MIT 양자포토닉스 및 AI 그룹의 방문연구원 라이언 해멀리(Ryan Hamerly)는 이스라엘 고등교육 위원회의 지원을 받은 연구 프로젝트의 논문을 2024년 8월 10일에 발표했습니다. MIT 기계공학부 교수 카를로스 엠 포르텔라(Carlos m.Portela)또한 2022년 6월 8일 텔아비브 대학에서 이스라엘과 록히드 마틴의 자금(Seed funding)을 받고 강의한 바 있습니다. 이렇게 밝혀진 사실에 기반해, MIT의 산학협력 프로그램은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 학술·문화보이콧(Palestinian Campaign for the Academic and Cultural Boycott of Israel, 이하 PACBI)의 대상에 포함됩니다.

 

4. 이에 오늘 (1/20) 국내 231개 단체가 함께하고 있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한국 시민사회 긴급행동은 오늘 기자회견을 통해 MIT에 대한 전 세계 BDS운동의 학술보이콧을 적극 지지하며, MIT와 이스라엘의 유착 관계를 규탄합니다. 우리는 또한 LG에게 MIT가 이스라엘의 집단학살과의 연결을 끊지 않는 한, 연구 협력을 재고할 것을 촉구할 것을 강력히 요구합니다. 끝.

 

▣ 기자회견 순서

사회 : 짐승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발언1. 미음 (팔레스타인평화연대)

발언2. 점보 (팔레스타인문화연대)

발언3. 종현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발언4. 소냐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발언5. 로리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발언6. 다희 (고려대학교 소수자인권위원회)

발언7. 명숙(인권운동네트워크바람)

 

▣ 붙임문서1. 발언문

발언 1. 미음(팔레스타인평화연대)

팔레스타인평화연대의 미음입니다. 저는 mit가 이스라엘이 벌이고 있는 집단학살,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기를, 또한 억압받고 있는 수백만 팔레스타인 민중들에 연대를 촉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이는 이스라엘과 점령에 관여하고 있는 기업들과 단절하며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이스라엘 국방부가, 학살을 자행하는 주체가 mit를 후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2015년 이후 약 370만 달러에 달하며, 이 자금은 드론 자동 추격 시스템 등 여러 군사 프로젝트 연구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 국방부는 mit를 후원하는 유일한 외국 정부입니다. 이 후원을 지속해서 받는다면, mit는 친이스라엘, 학살 지원 대학교라는 꼬리표를 뗄 수 없을 것입니다.

 

저희는 학살에 관여하는 기업들에 대한 관계도 끊을 것을 요구합니다. 대표적으로 이스라엘 군사기업인 엘빗시스템과 다국적기업 록히드마틴이 있습니다. 이들의 무기는 지난해 가자집단학살 중 월드 센트럴 키친 학살, 알 시파 병원 포격 등에 사용되고 있었음이 대대적으로 밝혀졌고, 지금도 이스라엘군은 이들의 무기를 구입하여 군사력을 보충하고 있습니다. 이 두 기업은 학살을 너머, 팔레스타인을 너머 전 세계에 무기와 감시기술을 제공하여, 각 국가에서 독재와 억압이 끝나지 않는 것을 조장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만두어야 합니다. 군사무기 기업에게 지원을 받고, 연구 프로그램을 체결하고, 채용 협력을 하는 것을 당장 그만두십시오.

 

또 다른 예시로는 캐터필러가 있습니다. 캐터필러는 MIT와 Leaders for Globel Operations를 체결하는 등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캐터필러는 무기생산이 아닌 트랙터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그러나 D9 불도저를 이스라엘 방위군이 구입하여 개조한 후, 민간가옥 파괴나 전투현장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캐터필러는 자사의 불도저의 사용례를 알고 있음에도 묵인하고 있기에, 책임소지에서 자유롭지 않습니다. MIT는 캐터필러를 포함하여 자사의 제품이 학살에 이용되는데도 이를 방조하는 기업들과의 관계를 단절하십시오.

 

발언 2. 점보(팔레스타인문화연대)

The late MIT professor and early AI pioneer Joseph Weizenbaum once said: It’s not another nation or other people, it’s war itself that is the enemy. Weizenbaum, one of MIT’s most respected researchers and staunch anti-war activist, would be ashamed to see what is happening on the sixth floor of this building.

 

As you may be aware, NGOs like Human Rights Watch, Amnesty International, Forensic Architecture have all denounced the genocide in Gaza; yet MIT ILP continues to partner with Israeli weapons manufacturers like Rafael Systems and Israel Aerospace Industries. Although the topic for this conference is highly technical – quantum photonics, nanotechnology, semiconductors – all of these technologies are used to further advance military technologies. Or, as Weizenbaum would say, when partnered with merchants of death like Northrop Grumman, Raytheon, and the U.S. Army, these technologies are involved in killing people. Although a temporary ceasefire has been reached, Israel continues to bomb Gaza and will continue to be an apartheid state; until there is freedom and democracy for all people in Palestine, MIT’s collaboration with Israeli weapons companies should be condemned and prosecuted for possible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As a graduate student in the humanities who majored in computer science, and even cross-registered for a class on computational theory at MIT during undergrad, I turned away from the field precisely because of its complicity in war, displacement, and suppression of human rights across the world. And it was an interview with Joseph Weizenbaum that convinced me that I could not continue in the field without being complicit in some form or another. To the ILP Directors Gayathri Srinivasan, Chris Dunphy, Steven J Palmer, Oliver J Cadet, Jim Flynn, Peter A Bouchard, and especially Hong Fan, who deals directly with Israeli and American weapons companies: you cannot continue to be involved in killing people without examining your complicity. We implore you to take the path of peace and end your relationships with Israeli weapons companies as they aid and abet genocide.

 

발언 3. 종현(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안녕하세요, 저는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의 종현입니다. 지난해 4월부터 전 세계 대학에서 대학이 이스라엘과 학살지원 기업과의 투자, 협력관계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운동과 시위가 들불처럼 퍼져나갔습니다. 대학이 학술교류와 혁신이라는 명목으로 이스라엘과 협력하고, 식민점령과 집단학살을 돈벌이의 기회로 삼아온 기업으로부터 재정지원을 받는 것을 묵과해선 안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대학은 각종 징계와 불이익으로 협박하고, 경찰과 공권력은 강경한 폭력으로 일관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열리는 MIT-ILP 심포지엄 역시 전세계의 학살공범들이 무슨 수를 써서라도 지키려 했던 학살지원행위의 일환입니다.

이스라엘과의 교류·협력은 이스라엘을 얼마든지 학술적, 우호적 교류가 가능한 정상국가로 보이게 합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명백한 제국주의 국가, 학살국가입니다. 이런 이스라엘과 교류하며 국제사회에 시민권을 쥐어주는 행위는 이스라엘이 학살을 계속할 수 있도록 정치적·도덕적 지원을 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습니다. 한국에도 이런 현실을 외면하고 있는 대학들이 있습니다. 십수년간 이스라엘 대사관, 대학과 협력하고, HD현대, 한화 등 학살지원 기업과 협력중인 고려대학교가 대표적입니다. MIT를 포함한 전 세계 모든 대학에서 이런 협력을 끊어내야 합니다.

이스라엘의 집단학살 중단은 학살에 연루된 대학과 자본을 위협할 수 있는 힘이 있을 때 진정으로 가능합니다. 그 힘의 원천은 대학을 운영하거나 학살지원 기업의 생산에 관여하는 노동자들에게 있습니다. 지난해 10월 고려대와 이스라엘과의 협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을 때, 학생뿐만 아니라 고려대 청소, 주차, 경비노동자들, 그리고 HD현대의 굴삭기 수출에 맞서 싸우고 있는 HD현대건설기계 해고노동자가 함께했습니다. 더 다양한 업종에서, 더 많은 노동자들이 팔레스타인 해방의 대의에 동의하고 앞장설 수 있도록, 노동자와 학생의 연대는 더욱 확장되어야 합니다. 오늘의 기자회견이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꿈꾸는 노동자-학생들의 국제적 연대를 실현하며 더욱 강력한 반격을 준비하는 길이 되기를 바랍니다.

 

발언 4. 소냐(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I am a student of Korea University much like, to my dismay, Taegyun Moon, who holds both bachelor’s and master's degrees of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And I'm also a member of the student coalition for palestine korea. Despite the current ceasefire, the occupation of Palestine is still ongoing, hence we, Student Coalition for Palestine, are here today to not really give a speech but to ask questions and demand. We demand the MIT ILP program, to state your stance on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either through social media, news outlets, emails, it doesn’t matter. We, the student coalition for palestine, demand you to step away from your perceived political neutrality that in actuality i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alestinian Genocide by collaborating with Elbit.

And for the questions:

● What is MIT’s reasoning for not putting Israeli projects under elevated risk-review, when MIT does so for projects funded by Saudi Arabia, China and Russia? When, for example, Elbit is Israel’s largest arms manufacturer, and high authorities such as Human Rights Watch, Amnesty International, The Lemkin Institute for Genocide Prevention, Euro-Medditeranean Human Rights Monitor, Forensic Architecture, the Center for Constitutional Rights recognised that Israel’s invasion of Palestine is genocidal in nature. Why is there a discrepancy in the treatment of Israel compared to Saudi Arabia, Russia and China?

● If the issue of Palestine is not something of interest for you, then why would you not put Elbit into high risk-review when Elbit sells missiles to Azerbaijan to use in the ethnic cleansing of Armenian Christians from Artsakh, supplies India’s military with drones to use in the occupation of Kashmir, sends spyware to the Ethiopian government to arrest dissident, and produces surveillance technology for the US-Mexico and EU-Africa borders?

Again, we demand the MIT ILP program, to state your stance on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and we demand you to step away from your perceived political neutrality that in actuality i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alestinian Genocide.

 

발언 5. 로리(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생 공동행동)

안녕하세요 팔레스타인 학생공동행동입니다!

구호로 인사드리겠습니다. Free Free Palestine!

 

Israel’s settler occupation of Palestine has gone on for over 76 years. Its catastrophic genocide has gone on for 15 months: 473 days of relentless bombing (killing at least 46,707), blockades forcing starvation and illness, and displacement of 95% of the population.

 

Why is MIT ILP connected to the Israeli genocide, occupation, and apartheid in Palestine?

 

The US and institutions like MIT continue to unconditionally support Israel—

Despite condemnation by maj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Despite indisputable evidence that Israel is committing genocide against Palestinians in Gaza

 

This is not a coincidence. This is the product of a decades-long alliance rooted in imperialism, profit, and the dehumanization of an entire population.

 

MIT ILP partners with Israeli and American weapons manufacturers to develop tools of destruction deployed by the IOF in its genocidal rampage. Bostonian universities funnel student labor into reproducing themselves while destroying Palestinian history and identity.

 

How did an educational institution like MIT become an accomplice to genocide? The answer lies in the deeply entrenched systems of imperialism and capitalism that prioritize profit over human lives. These systems perpetuate war, oppression, and apartheid in Palestine, while silencing those who dare to speak out.

But silence is not an option. We must call for divestment from Israel’s apartheid regime.

To our brothers and sisters here in Seoul, I ask: How can we stand by while institutions like MIT fuel the machinery of oppression? It is time to demand that MIT cut all ties with the Israeli state and build a future where institutions of learning are not tools of war. Let’s stand in solidarity with Palestine, until apartheid ends, until the occupation is dismantled, and until every Palestinian is free.

 

발언 6. 다희(고려대학교 소수자인권위원회)

안녕하세요, 팔레스타인 학생공동행동에 함께하는 고려대학교 소수자인권위원회 김다희입니다.

여기, 오늘 개최되는 심포지움의 주최인 MIT는 이스라엘 국방부의 지원을 받아오며 팔레스타인을 향한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왔습니다.

드론이 정찰과 감시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적을 쫓아가는 알고리즘의 연구, 테라헤르츠 이미징 시스템의 연구 등은 이스라엘의 군이 직접 자금을 조달하여 MIT에서 연구하였으며, 이는 팔레스타인에서 더욱 ‘효과적인’ 살상을 위해 쓰였습니다.

 

위 사례는 팔레스타인에 연대하는 MIT 학내 구성원의 연합체에서 밝혀낸 사실입니다. 이들은 이스라엘군과의 연결고리를 끊고 아파르트헤이트와 집단학살에 가담하는 기업과의 유착관계 역시 끊어낼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MIT는 이들의 목소리를 탄압해 왔습니다.

 

이에 오늘 이 심포지엄 관계자와 참가자들에게 묻습니다. 자랑스럽게 내세운 첨단 기술에 대한 대화의 장은 무엇을 숨기고 있습니까? MIT에서 연구하는 기술 적용과 성과가 이스라엘이 자행하는 학살과 점령에 쓰여왔다는 사실은 자명합니다. 팔레스타인에 새로운 무기를 시험하는 인종청소에 가담하면서도 MIT는 ‘혁신적’인 기술과 ‘미래의 쓰임’을 운운할 수 있습니까? MIT는 지금 당장 팔레스타인과 연대하는 학내구성원의 외침을 듣고 이스라엘과의 모든 유착을 끊어내십시오. 팔레스타인을 옥죄고 손쉽게 죽이는 기술의 개발과 그 개발을 가능케 하는 이스라엘 (군)과 대학과의 학술적, 금전적 교류를 중단하십시오. 팔레스타인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점령과 학살에 쓰이며 피로 몸집을 키우는 기술의 적용과 수출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습니다.

 

이스라엘은 휴전이 발효된 후에도 가자지구에서 민간인을 살해하고 있습니다. 휴전은 절대 행동의 끝이 아니며 팔레스타인의 해방을 맞이할 때까지 멈추지 않겠습니다. 팔레스타인에 해방을!

 

발언 7. 명숙(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지난 1월 15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일시 휴전협정안이 타결되었습니다. 그야말로 일시이기에 다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에 대한 집단학살은 다시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내각 내 극우세력의 반발로 19일에야 휴전협정안은 승인되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하마스에게 석방할 인질 명단을 받지 못했다며 협정을 3시간 지연시키는 동안 가자지구에 대한 폭격이 이어져 8명이 숨지고 25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이제 단계적인 가자지구 철수가 시작됩니다. 이후 이스라엘의 수감자 송환과 가자지구 재건까지 가려면 많은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협정이 제대로 이행되려면 이스라엘에 대한 압력이 계속 이어져야 합니다. 오늘 이곳에 온 것도 MIT의 산학협력프로그램 ILP는 이스라엘의 최대 무기 제조업체이자 이스라엘 방위군에 무기를 공급하는 군수기업 엘빗 시스템즈와 연구 및 사업 협력을 해왔기에 이를 중단하라고 요구하려 나왔습니다.

휴전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해방으로 이어지려면 이스라엘과의 연결고리를 끊어야 합니다. 이스라엘의 무기 개발에 기여한 MIT는 불과 1개월 전이고 집단학살이 한창이던 2024년 12월에 연구 협력관계를 갱신했다고 하니 최소한의 인권적 인식도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유엔사회권위원회에서 채택한 일반논평 25호 과학과 사회적 권리에 비춰도 MIT와 이스라엘 엘빗시스템즈의 연구협력은 반인권적입니다. 일반논평에도 과학연구에 대한 인권영향평가는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중요하다고 되어있습니다. 특히 연구가 연구자들이 속한 국가나 인구집단이 아닌 다른 국가에서나 다른 인구를 대상으로 할 때, 원래의 국가는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를 보장해야 한다고 되어있습니다. MIT의 연구가 팔레스타인에 대한 군사점령, 가자지구에 대한 집단학살에 무기가 쓰이고 있음에도 미국은 이를 방조하고 있으며 대학 당국은 이스라앨의 지원을 받는 연구가 반인권적임에도 이를 지속하고있습니다. 과학의 진보로 만들어진 무기들이 가자지구에 있는 팔레스타인들의 생명과 그들의 집과 자연을 파괴한 것을 우리는 지난 15개월동안 똑똑히 보아왔습니다. 그것은 과학도 학술도 연구도 아닙니다.

우리는 학술, 연구라는 이름의 인권침해를 막아야 합니다. 세계인권선언에서 명시한 ‘과학의 발전’은 평화와 인권에 기여하는 것이 우선임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즉 학살과 기업의 이윤을 위한 과학의 발전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도 학술적 군사적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