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5일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 장애인인권영화제 예산 미집행! 서울시 문화예술 블랙리스트! 장애인문화예술 검열하는 서울시 규탄 기자회견> 에서 명숙 상임활동가가 발언을 했습니다. 발언문을 공유합니다.
=========
저희 기자회견 앞서 혁신파크 폐쇄 등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했을 정도로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공공성과 다양성을 후퇴시키고 있어 매우 안타까움으로 마음으로 기자회견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인권운동 네트워크 바람이라는 인권단체에서 활동하는 명숙입니다. 앞서도 말씀하셨듯이 장애인권영화제는 장애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 차별 배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장애에 대한 시혜적인 시선, 동정어린 시선, 장애를 극복으로만 바라보는 시선 이런 것들을 다양한 장애인권 영화를 통해서, 또한 장애인영화제를 직접 장애인이 참여하며 운영하면서 달라지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저는 장애인권영화제를 애호하는 영화 영화 관객 중에도 한 명이기도 합니다. 해마다 봄이면 살랑살랑 바람 봄바람을 맞으며 대학로에서 장애인 영화제를 보았습니다. 그곳에는 유형 다양한 장애 유형의 장애인들이 있었고, 저와 같은 비장애인들도 있었습니다. 시각장애인, 휠체어이 장애인 혹은 발달장애인 다양한 장애 유형에 맞게 편의성이 제공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화제에 가서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우리 사회에 다양한 사람들의 존재 그리고 우리 사회가 얼마나 차별적인가를 생각하게 되었고 우리 사회가 바뀌어야 될 것들을 고민하는 그런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의미 있는 서울장애인 인권영화제를 단지 사유 없음으로 지원하지 않는다니 놀랍습니다. 저는 서울시가 ‘사유 없음’이라고 표현하고 싶은데요. 공개하지 못하는 거는 사실상 사유 없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유도 기준도 공개하지 못하는 것, 즉 ‘사유 없음’은 ‘차별 있음’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차별을 하겠다라는 공개적인 선언이죠. 그래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정보 공개 청구를 했음에도 사유를 공개하지 못하는 거고 기준을 공개하지 못하는 거는 차별임을 숨기고 싶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30년 전인 1994년에 유엔 자유권위원회에서는 소수자의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을 발표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소수 민족 또는 토착민의 언어와 종교, 문화에 대한 사회의 본위가 동참해야 한다는 것 중심으로 얘기가 되었는데요. 그때 소수자권리는 개인의 인권만이 아니라 집단의 권리다라고 했습니다. 소수자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공동체 내에서 그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그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그 집단만이 아니라 다른 집단에게도 매우 중요한 권리이기 때문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것에 비추어보면 장애인인권영화제는 장애인의 권리, 즉 장애인의 표현의 권리 또는 문화적 권리의 침해일 뿐 아니라 비장애인의 권리도 침해하는 것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 살아가는, 다시말해 우리 사회에 다양한 구성원이 존재함을 존재하는 구성원들과 어떻게 어울리고 어떻게 이 사회를 바꾸어 나갈지 고민하고 참여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을 박탈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것이 동시에 소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2020년은 유엔 자유권위원회에서 집회시위의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을 발표했는데 이때도 소수자의 권리는 더욱더 세심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라고 얘기합니다. 국제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와 문화적 권리에 있어서 장애인, 성소수자, 이주민 등 소수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한국사회도 마치 그렇게 나아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코로나펜데믹 이후에 한국 공영방송에서 수어통역을 합니다. 그걸 보면서 우리 사회에 비장애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있음을 방송을 보면서 알게 됩니다. 청인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농인도 있다라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되었습니다.
영화제에 관객으로 가면서 발달장애인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장애인권 영화제를 보면서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차별의 흔적들을 차별의 존재를 알게 되는데 서울장애인인권영제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것은 그것을 없애겠다라는 뜻에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한국 사회는 거대한 시설 사회라고 얘기합니다. 장애인들을 가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실제 시설도 있지만 시설이 아닌 우리의 감옥과 같은 비장애인 중심의 제도와 그리고 장애인들은 집에만 있어라 시설에만 있어야한다고 생각하는 거대한 편견이 시설사회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 시설사회를 깨는 것이 저는 장애인권영화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라고 생각합니다. 장애인 이 직접 만든 영화 든, 비장애인이 만든 영화든 그런 콘텐츠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입니다. 게다가 장애인이 인권영화제를 운영하는데 참여하면서 그런 시설 사회를 깰 수 있는 힘이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앞서 태정 님 말씀하셨듯이 장애인권영화제를 함께 만들어가면서 어떻게 당사자들의 참여와 그 의견들이 반영되는지를 우리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원예산을 0으로 했다니요,
그것은 진보적 장애인권 운동에 대한 차별, 아닌 진보적인 시각만이 아니라 장애인 주체적인 시각을 탈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장애를 여전히 수동적이고 보호받을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그런 영화만 틀어라, 그런 영화만 보장하겠다라고 하는 것이기에 매우 후퇴적이고 소수자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검열과 다름없는 사유 공개 없는 탈락이라는 것은 장애인권영화제가 발전시켜왔던 장애인의 문화적 권리,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기에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을 비롯한 시민사회는 장애인권연화제가 20년간 일궈왔던 성과를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연대해나가겠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장애인을 수동적인 존재, 시혜적인 존재, 비주체적인 존재로 대상화하려고 해도 우리 시민들은 거기에 넘어가지 않을 것입니다.어떻게든 돈을 만들어서 국가가 해야 될 역할을 못할지라도 방기할지라도 우리는 함께 힘을 모아서 영화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탄압에 대해서 국제사회에도 알려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지난 3월 5일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서울시 장애인인권영화제 예산 미집행! 서울시 문화예술 블랙리스트! 장애인문화예술 검열하는 서울시 규탄 기자회견> 에서 명숙 상임활동가가 발언을 했습니다. 발언문을 공유합니다.
=========
저희 기자회견 앞서 혁신파크 폐쇄 등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했을 정도로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만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공공성과 다양성을 후퇴시키고 있어 매우 안타까움으로 마음으로 기자회견에 함께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인권운동 네트워크 바람이라는 인권단체에서 활동하는 명숙입니다. 앞서도 말씀하셨듯이 장애인권영화제는 장애인에 대한 우리 사회의 편견 차별 배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장애에 대한 시혜적인 시선, 동정어린 시선, 장애를 극복으로만 바라보는 시선 이런 것들을 다양한 장애인권 영화를 통해서, 또한 장애인영화제를 직접 장애인이 참여하며 운영하면서 달라지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저는 장애인권영화제를 애호하는 영화 영화 관객 중에도 한 명이기도 합니다. 해마다 봄이면 살랑살랑 바람 봄바람을 맞으며 대학로에서 장애인 영화제를 보았습니다. 그곳에는 유형 다양한 장애 유형의 장애인들이 있었고, 저와 같은 비장애인들도 있었습니다. 시각장애인, 휠체어이 장애인 혹은 발달장애인 다양한 장애 유형에 맞게 편의성이 제공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영화제에 가서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우리 사회에 다양한 사람들의 존재 그리고 우리 사회가 얼마나 차별적인가를 생각하게 되었고 우리 사회가 바뀌어야 될 것들을 고민하는 그런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의미 있는 서울장애인 인권영화제를 단지 사유 없음으로 지원하지 않는다니 놀랍습니다. 저는 서울시가 ‘사유 없음’이라고 표현하고 싶은데요. 공개하지 못하는 거는 사실상 사유 없음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유도 기준도 공개하지 못하는 것, 즉 ‘사유 없음’은 ‘차별 있음’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차별을 하겠다라는 공개적인 선언이죠. 그래서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에서 정보 공개 청구를 했음에도 사유를 공개하지 못하는 거고 기준을 공개하지 못하는 거는 차별임을 숨기고 싶어서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30년 전인 1994년에 유엔 자유권위원회에서는 소수자의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을 발표 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소수 민족 또는 토착민의 언어와 종교, 문화에 대한 사회의 본위가 동참해야 한다는 것 중심으로 얘기가 되었는데요. 그때 소수자권리는 개인의 인권만이 아니라 집단의 권리다라고 했습니다. 소수자의 정체성을 보호하고 공동체 내에서 그 집단의 다른 구성원들과 함께 그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그 집단만이 아니라 다른 집단에게도 매우 중요한 권리이기 때문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것에 비추어보면 장애인인권영화제는 장애인의 권리, 즉 장애인의 표현의 권리 또는 문화적 권리의 침해일 뿐 아니라 비장애인의 권리도 침해하는 것입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함께 살아가는, 다시말해 우리 사회에 다양한 구성원이 존재함을 존재하는 구성원들과 어떻게 어울리고 어떻게 이 사회를 바꾸어 나갈지 고민하고 참여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을 박탈하는 것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것이 동시에 소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2020년은 유엔 자유권위원회에서 집회시위의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을 발표했는데 이때도 소수자의 권리는 더욱더 세심하게 보장되어야 한다라고 얘기합니다. 국제사회에서 표현의 자유와 문화적 권리에 있어서 장애인, 성소수자, 이주민 등 소수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한국사회도 마치 그렇게 나아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코로나펜데믹 이후에 한국 공영방송에서 수어통역을 합니다. 그걸 보면서 우리 사회에 비장애인만 있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이 있음을 방송을 보면서 알게 됩니다. 청인들만 있는 것이 아니라 농인도 있다라는 것을 우리는 알게 되었습니다.
영화제에 관객으로 가면서 발달장애인이 있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 그리고 장애인권 영화제를 보면서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차별의 흔적들을 차별의 존재를 알게 되는데 서울장애인인권영제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것은 그것을 없애겠다라는 뜻에 다름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것입니다.
한국 사회는 거대한 시설 사회라고 얘기합니다. 장애인들을 가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실제 시설도 있지만 시설이 아닌 우리의 감옥과 같은 비장애인 중심의 제도와 그리고 장애인들은 집에만 있어라 시설에만 있어야한다고 생각하는 거대한 편견이 시설사회를 만들고 있습니다. 그 시설사회를 깨는 것이 저는 장애인권영화제와 같은 다양한 콘텐츠라고 생각합니다. 장애인 이 직접 만든 영화 든, 비장애인이 만든 영화든 그런 콘텐츠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힘입니다. 게다가 장애인이 인권영화제를 운영하는데 참여하면서 그런 시설 사회를 깰 수 있는 힘이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앞서 태정 님 말씀하셨듯이 장애인권영화제를 함께 만들어가면서 어떻게 당사자들의 참여와 그 의견들이 반영되는지를 우리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지원예산을 0으로 했다니요,
그것은 진보적 장애인권 운동에 대한 차별, 아닌 진보적인 시각만이 아니라 장애인 주체적인 시각을 탈각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장애를 여전히 수동적이고 보호받을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그런 영화만 틀어라, 그런 영화만 보장하겠다라고 하는 것이기에 매우 후퇴적이고 소수자 인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검열과 다름없는 사유 공개 없는 탈락이라는 것은 장애인권영화제가 발전시켜왔던 장애인의 문화적 권리,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기에 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을 비롯한 시민사회는 장애인권연화제가 20년간 일궈왔던 성과를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연대해나가겠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장애인을 수동적인 존재, 시혜적인 존재, 비주체적인 존재로 대상화하려고 해도 우리 시민들은 거기에 넘어가지 않을 것입니다.어떻게든 돈을 만들어서 국가가 해야 될 역할을 못할지라도 방기할지라도 우리는 함께 힘을 모아서 영화제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서울장애인인권영화제 탄압에 대해서 국제사회에도 알려나가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